먼나라 옆나라, 북한을 알자 <3> 지금 북한은 가짜뉴스와 전쟁 중
수정 : 0000-00-00 00:00:00
먼나라 옆나라, 북한을 알자 <3> 지금 북한은 가짜뉴스와 전쟁 중
이은혜(가명, 북향작가)
얼마 전 국내의 유명한 대북 매체가 북한이 내부적으로 배포한 해설 담화자료(강의 자료)를 입수하여 내용 일부를 보도했다. 해당 강의 자료에는 “군중들 속에서 제기되는 유언비어와 동향을 정치적으로 예리하게 보고 각성을 가지고 대해야 한다.”라는 김정은의 ‘말씀’도 인용되어 있었다. 강의의 대상은 국경경비사령부 산하 군관(장교), 군인, 노무자(군무원) 등이다. 전 세계가 가짜뉴스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요즘, 북한도 예외는 아닌 것 같다.
▲ 북한의 휴대전화 이용자가 700만명을 넘고 있다
그런데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흥미로운 대목이 있다. 해당 자료에는 “남보다 ‘새 소식’을 많이 아는 것을 자랑거리로 여기거나, 무슨 말을 듣기 바쁘게 다른 사람에게 옮기기 좋아하는 사람들에 대해 항상 주의를 돌리고, 그들이 나쁜 습관을 고치도록 교양 비판”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또한 “지난 시기 사소하게나마 유언비어를 지어내거나 퍼뜨린 행위를 한 대상들은 스스로 당 조직에 찾아가 솔직하게 자백하라.”며 자기반성을 유도했다.
북한에서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외지인, 특히 평소엔 만나기 힘든 지역 사람이나 해외 체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북한은 사실상 거주 이전의 자유도 없고, 도(都) 경계를 넘어 이동하기 위해서는 여행증명서나 출장증명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인이 사는 거주지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사는 사람을 만나는 일은 흔치 않다. 다른 지역 사람이나 해외를 다녀온 사람들을 통해 듣는 소식은 TV에서는 얻을 수 없는 생생한 소식들이다. 그 소식들은 북한당국의 공식적인 강연이나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과는 다른 경우가 많았고, 때로는 새로운 차원의 신세계이기도 했다.
2000년대 북한으로 물밀듯이 들어온 한국 드라마를 보면서도 정말 신기한 장면들이 많았다.
그중 하나가 은행 ATM에서 현금을 찾는 장면이었다. 친구와 그 장면을 놓고 한참을 토론했다. 저게 어떻게 가능하지? 드라마에서 주인공의 설정은 분명 부자가 아니고 평범한 사람인데 기계에서 저렇게 돈을 척척 꺼내나. 당시엔 정말 신기한 세상처럼 보였었다. 어쩌다 평양이나 국경 쪽에서 사는 사람들이 우리 동네로 오면 다음 날은 모두 그 집에 모여들어 새 소식을 들었다. 다른 지역 사람들의 사는 형편도 궁금했지만, 그보단 해외 소식을 들을 때가 제일 재미있었다.
요즘은 휴대전화가 생겨 다양한 소식과 정보들이 예전보다 훨씬 더 빨리, 더 많이 유통된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TV를 통해 방영되는 내용이 흥미로울 리가 없다. 또한, 사람을 통해 전달되는 내용은 사실(Fact)과 함께 그 사실에 대한 주변 동향이나 해석이 덧붙기 마련이다. 북한당국의 입장에서는 아무리 사실이라 해도 그에 대한 해석이 당국이 의도한 방향과 다르다면 유언비어로 여겨지는 것이다. 물론 개중에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듯이 가짜도 섞여 있다. 문제는 ‘사실’과 ‘유언비어’를 가르는 기준이 진실 여부가 아니라 각자가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정치적 올바름’에 있다는 것이다. 주지하고 있듯이 이러한 문제는 북한만의 문제는 아니다. 현재 지구인 모두가 직면한 난제다.
#184호 #파주에서 #파주에서신문 #먼나라옆나라 #북한을알자 #가짜뉴스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