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 확대. 양수리전통시장 추가 등
수정 : 0000-00-00 00:00:00
경기도,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 확대. 양수리전통시장 추가 등
○ 경기도 전국최초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 조성」 2차년도 사업 추진
* 도입기(’24년) → 확장기(’25년) → 정착기(’26년)
- 특화지구 활성화로 지역 및 면적 확대 지원
* 지역 확대 : 4개 시군 5곳 → 6곳 (양평 세미원 1곳→ 세미원·양수리전통시장 2곳)
* 면적 확대 : 안산 17,211㎡ → 49,280㎡
- 전국 최초, 지역 특성 반영 도내 확산 표준 모델 구축
* 3개 모델(대학, 관광지, 음식거리) 구축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국 최초로 운영하는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를 5곳에서 6곳으로 확대한다. 양평 양수리전통시장을 추가했으며, 기존 안산 샘골로 먹자골목은 면적을 4만 9,280㎡로 약 3배 늘렸다.
앞서 도는 2024년 6월 ▲부천시 대학교 캠퍼스(가톨릭대, 부천대, 유한대, 신학대) ▲안산시 샘골로 먹자골목 ▲광명시 무의공 음식문화거리, 광명사거리 먹자골목 ▲양평군 세미원 등 4개 시 5곳을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도는 도입기(2024년), 확장기(2025년), 정착기(2026년) 등 3년에 걸쳐 총 30억 원을 투입해 다회용기 기반 시설(인프라)을 구축하고 특화지구 내에서 1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지원하고 있다.
시군별 추진 사항 및 올해 계획을 보면 부천시는 4개 대학 캠퍼스 카페 14개소를 대상으로 다회용컵 사용 시 QR 코드를 활용해 ‘탄소중립 포인트 리워드’로 일정 금액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안산시는 샘골로 먹자골목 인근 음식점 등 79개소에서 다회용기 사용을 유도하고 있으며, 특화지구 면적을 기존 1만 7,211㎡에서 올해 4만 9,280㎡로 확대했다.
광명시는 카페와 음식점 등 81개소에서 ‘1회용품 제로데이 캠페인’을 개최하는 등 도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했다.
양평군은 카페와 음식점 등 24개소에서 다회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특화지구를 기존 세미원 1곳에서 올해 양수리전통시장을 추가해 총 2곳으로 늘렸다. 양평군은 두물머리에서 2026년 ‘경기정원문화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으로 군내 특화지구인 세미원, 양수리전통시장과 연계해 1회용품 사용을 줄일 계획이다.
도는 지난해 방문 인구, 대학교 학생 등을 고려해 특화지구 5곳에서 58만 명이 다회용기 사용 등을 경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올해 특화지구 신설 및 면적 확대로 관련 효과는 127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번 특화지구 운영을 통해 대학, 관광지, 음식문화거리 등 3개 분야의 표준 모델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용균 경기도 자원순환과장은 “2024년 도입기를 거쳐 2025년에는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를 대폭 확장해 순환경제 표준모델을 구축하겠다”며 “경기도가 앞장서서 도민이 체감하는 체감형 실천모델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1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 조성」 2차년도 계획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 활성화로 순환경제 지역 단위 표준 모델 구축- |
□ 사업개요
○ 기 간: ’25. 1. 1. ~ 12. 31. ○ 예산액: 10억원
○ 대상지: 4개시군 6곳
* 부천4개캠퍼스(1곳), 안산음식문화거리(1곳), 광명음식문화거리(2곳), 양평세미원,전통시장(2곳)
○ 추진 방향
- 특구 활성화(’24년 도입기 → ’25년 확장기) 및 대상지역별 표본 모델 창출
* 대상지 확대(양평 세미원1곳→ 세미원·양수리전통시장 2곳) 및 면적 확대(안산 17,211㎡ → 49,280㎡)
* 전국 최초, 지역 특성 반영 도내 확산 표준 모델 창출 : 3개 모델(대학, 관광지, 음식거리) 구축
- ’26년(양평) 경기지방정원문화박람회 다회용기 사용으로 도민 체감형 실천 확산
○ 주요 계획
시군명 (시군) |
예산액 (백만원) |
대상지(곳) |
주요 추진 내용 |
|
2025년 |
2024년 |
|||
4개 |
1,000 |
6 |
5 |
· 대상지 확대(5곳→6곳), 면적 확대 · 전국 최초, 대상지별 표준 모델 구축 |
부천시 |
344 |
1 (4개대학) |
1 (4개대학) |
· 4개 대학(가톨릭대, 부천대, 유한대, 신학대) 전면 다회용컵 사용 · 시스템 구축 단일화로 사용의 편의성 제고(QR, 리워드 300원) · 총학생회 및 SNS를 통한 실질적인 홍보 |
안산시 |
191 |
1 (샘골로) |
1 (샘골로) |
· 대상지역(시민참여) 확대(2024년 17,211㎡ → 2025년 49,280㎡) · 찾아가는 1회용품 줄이기 마인드 교육 및 캠페인 실시 · 공동주택 미디어보드 홍보 |
광명시 |
215 |
2 (먹자골목, 무의공) |
2 (먹자골목, 무의공) |
· 다회용기 사용 앱 고도화 협의(광명 자체리워드 연계방안) · 1회용품 ZERO데이(월1회)캠페인 확대로 시민 자발적 참여 유도 |
양평군 |
250 |
2 (세미원, 전통시장) |
1 (세미원)
|
· 대상지 확대(세미원 1곳 → 세미원·양수리 전통시장 2곳) · ’26년 이후 지속 사업 모델 개발(유상공급방식) · ’26년 경기정원문화박람회를 기후변화시대에 부합한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로 조성 사전 준비(기후 정원) · 자체 공공세척시설(’25.12월 운영 개시)확보로 예산 절감 및 일자리 창출 기대 · (인식제고, 실천)상인회 도시락 사업 진행 시 다회용기 사용 |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