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경기도, ‘디지털 대전환’으로 도정 혁신…도민중심 행정서비스 강화

입력 : 2021-06-08 00:58:59
수정 : 2021-06-08 00:59:31

경기도, ‘디지털 대전환으로 도정 혁신도민중심 행정서비스 강화

 

경기도, 민선74대부문 9개분야 57디지털 경기프로젝트 추진

- 공공비대면 서비스 제공, 맞춤형 디지털 서비스 강화, 데이터활용고도화, 디지털인프라 등

재난기본소득 시스템, 승차벨 서비스, 경기도 데이터배당 등 전국 최초 시행

디지털 경제·행정 활성화 기반 마련 및 데이터 활용 생태계 강화

 

 

 

 

# 의정부시에 거주하는 김00씨는 G6100 버스를 타고 내릴 때 지갑에서 교통카드를 찾느라 당황하지 않는다.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대지 않아도 자동으로 결제가 되는 경기도 태그리스(tagless) 결제시스템이 버스에 설치돼 있기 때문. 이제 김 씨의 승하차가 한결 편리해졌다.

 

# 수원시에 거주하는 1인가구 서00씨는 잦은 야근으로 인해 통장이 전달하는 민방위교육 훈련통지서를 받지 못하거나 통지서를 잃어버려 민방위 교육 미이수로 과태료를 내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종이 서류 대신 모바일 민방위 전자고지로 바뀐 후부터는 휴대폰으로 통지서를 받을 수 있게 됐다.

경기도가 4차산업혁명과 디지털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정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도는 지난해 기존 정책의 디지털적 접근 방안 등을 조언해주는 자문기구인 디지털네이티브 정책개발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등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는 선도적 디지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해왔으며 다양한 디지털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올해만 해도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갖다 대지(태그) 않아도 자동적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태그리스(tagless) 결제시스템 승객의 탑승대기 정보를 버스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줘 무정차 통과를 예방하는 경기버스 승차벨 서비스 각자에게 꼭 맞는 복지정보를 안내받고 알림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경기알림톡 등 획기적인 디지털 도정을 선보여 도민들의 이목을 끌었다.

경기도는 현재 공공비대면 서비스제공 맞춤형 디지털 서비스 강화 데이터 활용 고도화 디지털 인프라 확충 등 4대 부문 57개의 디지털 도정 사업을 추진 중이다. 앞으로 도가 펼쳐갈 디지털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부문별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을 살펴봤다.

 

붙임

 

민선7기 디지털 경기도정추진 사업 현황

 

 

구분

 

분야(9)

 

추진사업(57)/운영44(시범운영4 포함), 구축 중12, 계획1

비고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