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행과 착오의 학교 ㉖ 왜 작심삼일일까?(4)

입력 : 2016-04-07 15:10:00
수정 : 0000-00-00 00:00:00

시행과 착오의 학교

볼 시(視), 다닐 행(行), 어그러질 착(錯), 깨달을 오(悟)라고 해서 각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삶의 어그러진 곳을 깨닫기 위한 배움터라는 의미입니다.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시행착오를 발판삼아 좀 더 건강한 삶을 만들어가는데 도움이 되는 글을 나누고자 합니다.

 

감각기관으로 들어오는 정보는 물을 매개로 전달

 

  

 드라마는 현실을 반영한다. 하지만 현실은 아니다. 리얼 버라이어티도 현실을 반영한다. 하지만 이 역시 현실은 아니다. 사람들은 완전한 사실(fact)을 부담스러워하며 완전한 허구(fiction)에는 공감을 하지 못한다. 공감이라는 감정이입은 사실과 허구가 적절히 배합된 그럴듯한 이야기(faction) 구조 속에서 발생한다. 흔히 시청률 대박이라는 방송 프로그램들은 거의 다 이런 플롯을 따르고 있다. ‘예능의 끝은 다큐’라는 30년차 예능대부의 한 마디는 앞으로 점점 더 사실과 허구의 경계가 흐려질 것임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문제는 이 그럴듯한 이야기가 진짜 현실을 대체하고 있다는 데 있다. 갈수록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밖 실제 세상을 드라마나 예능처럼 자유롭지 않고 즐겁지도 않으며 멋지지도 않다고 여기게 되면서 현실에서 실현해야 할 목표들을 가상의 세계에서 대리만족하고자 한다. 번듯한 직장, 사회적 성공, 멋진 로맨스, 해외여행 심지어 음식 먹기까지 현실의 사정이 어려워질수록 그럴듯한 세계에 더 몰입하게 되고 현실은 더욱 멀어진다.

  

 이런 패턴이 반복되면 우리 몸에서는 소장(小腸)이 가장 큰 부담을 받게 된다. 감각기관을 통해서 인체로 들어오는 모든 정보는 수분을 매개로 전달되는데, 체내 수분의 90%를 소장의 융모에서 흡수한다. 이 때 수분 속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서 수분의 청탁(淸濁)을 나누는 역할을 소장이 한다.

 

 즉, 감각정보의 상태에 따라 수분의 순도도 달라지는데, 사실과 비슷하지만 사실은 아닌 가상의 정보가 반복적으로 유입이 되면 수분을 여과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쏟아 내버린다. 실제로 크론병과 같은 만성설사증후군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잘 구분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아무리 간담(肝膽)을 거쳐 스스로 낸 의욕을 구체화했더라도 그것이 실제 실현 가능한 것인지 어떤 수단과 방법이 있는지 등의 현실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과정이 소장에서 만들어 져야 한다. 이것이 작심을 이루는 세 번째 단계인 병(丙)이다. 병은 밝다(炳)는 뜻으로 사소한 것 하나라도 뚜렷하게 하는 작업이다. 만일 이 과정을 거치지 않게 되면 하고 싶다는 의욕만 앞서서 도전했다가 상상했던 것과 너무나도 다른 현실에 실망하고 미리 포기하게 되는 우를 범하게 된다.

 

 이 때 동의학에서 제시되는 해법이 바로 소장의 건강성―수성지관(受盛之官) 화물출언(化物出焉)이다. 수성(受盛)이란 가득 담는다는 말로 소장이 체내 수분의 대부분을 흡수하듯이 관심분야의 전반적인 현황을 두루 살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고 나면 수성을 통해 확보된 맑은 수분(化物)이 몸에 두루 공급되어 실제 행동할 때 필요한 추진력으로 사용된다. 공든 탑은 무너지지 않는다고 했다. 하고자 하는 열망만큼 준비가 갖춰졌을 때 비로소 진정한 작심(作心)이라 할만한 ‘정(丁)’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글 카페 방하 봄동 한의원 유창석 한의사

 

 

 

#37호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