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창간2주년특집] '사람이 하늘이다' 영화 김대실 감독 초청 대화

입력 : 2016-11-03 15:19:00
수정 : 0000-00-00 00:00:00



지난 10월 21일(금) 본지 「파주에서」 창간 2주년을 기념하여, ‘DMZ다큐멘타리 영화제’ 출품작 ‘사람이 하늘이다’ 김대실 영화감독을 초청하였다. 「파주에서」조합원 뿐만 아니라, 액션원코리아 미국대표 정연진씨, 내일행복통일포럼 이기묘 대표, 생명미디어센터 최성주 대표를 비롯한 외지 손님들이 멀리 파주 본사까지 찾아와서 자리를 빛냈다. 이근삼 시의원, 파주미래DMZ 윤도영대표, 파주시민참여연대 박은주 대표, 파주녹색당 천호균 공동운영위원장, 마당의 최석진신부, 문화예술인협회 임진강 김종도 대표 등도 영화에 크게 감동을 받았다고 평했다.
 

영화감상과 감독과의 대화에 이어, 2주년 축하 파티가 열렸다. DMZ가 관광상품이 되고 있는 것을 슬퍼하며, 휴전선 철조망을 ‘가시담길 600리’라 하자는 제안 등 통일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임진강’노래와 ‘나의 살던 고향’을 함께 불렀다. (동영상은 「파주에서」홈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선입관 없는 시선으로 서로를 바라보며, 마음으로부터 남과 북이 교류하였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으로 김대실 감독과의 대화를 실어 파주 시민들과 나누고자 한다.

 


▲2주년 기념 행사에서 이사장이 감사의 인사를 하고 있다.

  

어떻게 영화를 만들게 만들게 되었나요?

 

‘사람이 집이다’는 걸 가르쳐준 남편 단. 세상을 떠난 남편 단과 함께 만들어 할머니에게 바친 영화입니다.


미국이 한국을 너무나 몰라요. 

미국에 살면서 항상 분통이 터지는 거예요. 늘 미국비판을 하지만..이 영화를 만든 것은...제 남편은 아이오와주 농민의 아들인데...

 
1945년 할머니 손을 잡고 38선을 넘어 남한으로 오고 나서부터 제 인생은 항상 집을 찾는 여행이었어요. 왜냐하면 집을 떠나왔으니까. 45년부터 62년까지, 초등, 중,고등, 대학교, 2년 동안 이화에서 가르치다 미국갔으니까 실제적으로 말하면 제 집은 남한이죠. 그런데 남한을 떠나고 나서도 남한 ‘여기가 집이다’는 깊은 감정을 가져보지 못했어요.

  

미국에서 50년 살았어요. 제일 오래 살았지요. 그래도 미국은 제 집이 아니예요. 근데, 아이오와주 남편 단을 맞나서 결혼한 이후, 미국(America)에서 집을 찾은 것이 아니라, 미국사람(American)에게서 집을 찾았어요. 그 때부터 제 마음속에는 ‘사람이 고향이다’고 생각하게 되었어요.

 

남편 단과 살면서 ‘사람이 집이다’고 늘 느끼고 살다가, 단이 세상을 떠났잖아요. 그후 1년 동안 아무 것도 못하고 집에 있다가...단이 세상을 떠나기 전에 북한에 가서 우리 한반도이야기를 해보고 싶어했어요. 제 정신으로는 혼자 못하겠더라고요. 단과 함께 가자고 했었던 것이었는데...

 
단이 혼자 가면 따라온다고 했었기에 작업을 할 수 있었던 거예요. 그래서 이 영화는 단과 함께 찍은 것이고, 그래서 제가 단과 함께 찍어서 할머니에게 바치는 영화입니다.

▲영화 ‘사람이 하늘이다’ 를 상영하고 있다.


 북한 영화를 만드는 것이 쉽지 않았을텐데 작품 준비는 어떻게 ?

 

내 시선으로 선입관 없이 보고자 머리, 마음, 영혼을 될 수 있으면 전부 비워서 북한을 보세요


2013년 북한에 대한 영화를 만들려고 했을 때, 맨 처음 만난 사람들이 탈북자들이예요. 

한 15명하고 얘기를 했는데, 그들이 이북에서 고난을 받은 이야기를 들었어요. 그들의 사정을 다 들어보고 내린 결론은, 이 사람들의 말을 듣고 북한에 대한 영화를 찍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이 사람들은 모두 북한이 싫다고 떠난 사람들이고, 이 15명의 사람들은 북한 사람들의 의견을 대표할 수 없으니까요. 공평하지도 않고.

 

이북에 대해 작품들이 많잖아요. 많은 작품들이 모두 이들 탈북자들의 말을 반영하고, 미국의 주류 미디어나 여기 주류 미디어에서 전하는 말은 긍정적인 말은 하나도 없잖아요.

사람이 선입관이 있는데, 선입관이 전부 부정적이잖아요. 그런 선입관을 갖고 이북을 제대로 알 수 없다고 생각했어요. 남의 말이 아니라, 내가 가서 내 눈으로 직접 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정치에 대해서 말하려 하지는 않았어요. 그러려면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등 체제에 몇 배나 비판적으로 파헤쳐야하는데... 그것만 하는 사람들은 세상에 쌓여있어요. 북한에 대해서 강제노동, 인권탄압, 징역 등 문제를 지적하지요. 그런데 이북에서 불편해하는 것에 대해서 찍을 수 있겠어요? 제가 강제노역소에 갈 수 있겠어요? 그래서 시간 낭비하지 말고, 내가 볼 수 있는 것만 나눠보자는 정신으로 만든 영화가 이 영화예요.

 

탈북자의 시각으로 만들어진 작품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보세요. 선입관이라는 것은 어떤 방면에서든 나빠요. 예술이든, 책에서든... 그것에 의해 쌓여지는 시선들은 공정하다고 볼 수 없지요. 더군다나 북한에 대한 것은, 여기 어떤 분이 “눈으로 보지 않고, 가슴으로 봤다”고 했는데, 북한에 대해서는 머리, 마음, 영혼을 될 수 있으면 전부 비워서 바라보세요. 빈 마음으로 살펴보세요. 그러면 서로 마음을 나눌 수 있어요. 이런 마음이 없이는 정확하지도 않고 틀려요. 저는 그렇게 믿어요.


▲감독과의 대화시간

   

 

 미국 사람들은 이 영화를 보고 어떻게 생각하나?
 

미국이 관심 갖는 것은 중국, 미국인들 제 영화보고 크게 놀라해

세계를 돌아 동영상자료 수집에만 5만 달러

  


브루스 커밍스가 말하잖아요. “한국전쟁은 한국을 위해서 한 것은 절대로 아니다. 

일본을 위해서 한 것이다.”라고 말하지요. 똑똑히. 그것은 사실이에요. 전쟁이 나면 일본에서 날 테니까 그것을 방지해서, 전쟁을 한다면 한국에서 하자 했다는 거예요. 찰스 암스트롱이란 젊은 교수는 엄마가 한국 사람이고, 아버지가 미국사람이에요. 널리 알려진 북한 전문가예요.

 

암스트롱 교수는 “미국이 관심 갖는 것은 중국이지, 북한이 아닙니다. 미국은 이북에 대해서는 관심도 없습니다.” 미국 사람들 마음속에는 중요하지 않아요. 그런데 여기와 보면 ‘미국이 도와줘서 감사하다’, ‘한미관계를 감지덕지 여긴다’, ‘미국이 우리 구원해줬다’고 계속해서 어른들이 생각하고 자녀들에게 가르쳐주는 것은 해가 되는 것이라 봐요.

 

콜럼비아대학에서 시범상연 했더니, 조금 보여줬는데, 제 친구들 박사, 교수, 예술가들이 보고 너무 너무 놀라더라구요. 정말 몰랐다고.

 

제가 이 영화를 찍을 때는, 단순한 마음으로 ‘70년 동안 못간 내 고향을 한 번 찾아가보자’는 심정으로 찍은 것인데. 이것을 테스트한 것만으로도 너무나 놀라해서, 찍은 후에 조사를 엄청 많이 했어요.

 

그래서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자료를 수집했어요. 고문서도서관 영상자료 값 만해도 5만불이예요. 이 기회에 한반도의 슬픈 이야기를 역사속에 집어넣어서 얘기해야겠다고 해서 작업했어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몰랐던 것을 알게 해주고, 생각에 자극을 주기도 합니다.


▲영화 상영 후 감독과 신문사에서 뒷풀이를 했다.

  

저의 미국 비판에 대해 “너네 집에 가라” 하기도

 

제가 이렇게 활동하니 미국 비평가가 “왜 미국을 그렇게 비판하냐? 너네 나라에 가라”고 한다. 그럴 경우 화내기도 하고, 웃기도 한다. 어떤 때는

“그래, 나도 오늘 짐 쌀 테니. 너도 싸라. 여기가 너네 고향이니? 원주민 죽이고, 아프리카 흑인들을 멸치처럼 엮어서 끌고 와서 미국이라는 나라를 형성한 것 아니냐?”고 말한다. 미국은 아직도 흑백 인종주의가 아주 강고해요. 제가 인종차별에 대한 영화를 두 편을 만들었는데...이것은 변화하지 않아요. 이 인종차별주의는 길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오바마가 대통령이어도, 백악관에도 있고, 정치에도 강고하게 존재합니다.

 

미국에 대해 신랄하게 말하지요. 그렇다고 체포하고 감옥에 넣지 안잖아요. 제가 하고 싶은 말 다할 수 있지요. 이북에서는 이런 말을 하면 감옥에 가고, 표현의 자유가 없잖아요. 표현의 자유, 생각의 자유는 조그만 것 같지만, 근본적인 것이에요. 그것을 미국이 갖고 있기 때문에 , 좋다 어쩌다 해도 성장해 나가는 것이에요.

 

감독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고, 선입관 없이 보자는 메시지를 전한다. 그가 담은 필름을 따라가다보면, 한 사람의 삶을 통해 한국 현대사가 읽혀지고, 그 안에서 어떤 감정 표현이나, 주장이 없었음에도 가슴과 눈이 뜨거워졌다. 김감독이 직접 그린 그림을 활용한 영상미에 대한 찬사도 이어졌다.

 

남과 북 사람들 마음이 흐르고, 그 흐름이 개성공단 재가동, 남북 교류, 평화협정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당장 두만강 홍수로 집을 잃은 이재민에게 쌀과 옷을 보내는 운동이 더 크게 펼쳐져야 하지 않을까? 감독은 미국의 저력을 표현의 자유, 생각의 자유라는 근본적인 것의 보장에 있다고 봤다. 지금 우리는 생각의 자유, 표현의 자유를 갖고 있는가? 자문해본다.

▲행사 후 기념촬영

 

글·사진 임현주 기자


#51 창간2주년 특집호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