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통신] ⑭ 가짜뉴스
수정 : 0000-00-00 00:00:00
작가 알랭 드 보통은 2014년 그의 저서 ‘뉴스의 시대’에서 “민주 정치의 진정한 적은 무작위의, 쓸모없는, 짧은 뉴스들의 홍수다. 그것은 점차 사람들이 이슈에 대한 본질을 파고들고 싶지 않게 한다”라고 지적했다. 포털에서 실시간 인기 검색어에 오른 기사를 중심으로 뉴스가 제작, 소비되는 오늘날의 디지털 뉴스 시대와 더불어, 요즘같이 대통령 탄핵이라는 정치적 국면에 어울리는 지적이다. 파편화되고 편향적인 뉴스의 홍수는, 소위 ‘업자’가 아니고서는 뉴스의 맥락을 따라가기도 힘들다. 무엇이 진실이고 거짓인지 읽는 이의 개인적 판단 능력이 절실한 시대이다.
그런데 요즘 ‘가짜 뉴스’에 대한 이슈들이 눈에 띄게 등장하고 있다. 혹자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언론과의 힘겨루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일들이 박근혜 탄핵과 대선을 준비하는 요즘, ‘가짜 뉴스’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예로 jtbc나 인터넷 언론에서 탄핵을 지지하거나 또는 반대하는 상호 간의 대립으로 ‘가짜 뉴스’ 논란이 있었다.
사실 ‘가짜 뉴스’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동아일보는 1945년 12월 27일 자 1면 기사에서 “소련은 신탁통치 주장, 미국은 즉시 독립 주장”이라고 보도했다.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미국이 조선의 독립을 주장한 반면 소련은 조선을 다시 식민지로 만들려고 한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오보였다. 훗날 역사는 신탁통치 안을 제시한 쪽이 미국이었다고 기록한다. 우익 성향의 동아일보 기사 이후 한반도는 찬탁 대 반탁으로 갈라졌고, 미,소 공동위원회의 실패를 초래했으며 한국전쟁과 분단으로 이어졌다.
48년 제주에서도 그리고 80년 광주에서도 진실을 왜곡하기 위한 ‘가짜 뉴스’가 있었다. 우리는 어떤 정치적 목적을 위한 의도적 오보를 편파 보도 또는 왜곡 보도라고 한다. 물론 편파와 왜곡 보도는 모두 ‘가짜 뉴스’의 하위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요즘은 편파, 왜곡보도라는 표현보다 단순히 ‘오보’라고 사용한다. 그리고 ‘오보’의 원인은 특종을 쫓아다니는 기자들의 조직문화와 관행이 초래하는 결과물로 단정한다.
2014년 세월호 ‘전원 구조’ 보도는 언론인들이 스스로 고백하는 근래의 오보, 즉 ‘가짜 뉴스’이다. 정부의 잘못된 발표를 정확한 사실 확인 없이 내보냈던 언론은 유가족들과 국민들에게 슬픔과 고통을 주었고, 이 같은 오보는 쓰레기와 기자의 합성어, ‘기레기’ 언론의 실상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일명 언론가에서 전해지는 세월호 오보에 대한 기자들의 공통된 반성은 “과도한 속보 경쟁 속에서 그동안 관행적으로 해오던 ‘받아쓰기’ 보도가 원인이 되었다”라는 통설이다. 오보를 인정하는 언론인들도 이를 ‘왜곡 보도’ 또는 ‘가짜 뉴스’라고 부르길 거부하는 속내이다.
낚시 제목이나 선정적 내용, 사실관계의 오류 그리고 네티즌의 반응을 살피며 어뷰징 기사를 양산하는 우리 언론의 상황은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다. 언론사들은 인터넷 시대에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한 자구책이라고 항변하지만, 공영방송(KBS, MBC)과 국가 기관 뉴스 통신사(연합뉴스)가 진실을 가짜로, 가짜를 진실로 포장하는 뉴스들을 생산하고 있다. 얼마 전 MBC 신임 사장 선임은 더욱더 노골적인 '가짜 뉴스'의 확산을 예고했다. 공,민영 할 것 없이 앞다투어 '가짜 뉴스'를 만들어야 하는 찰나이다. 그런데 참으로 가관인 것은 이들이 ‘가짜 뉴스’를 재단해 뉴스의 질을 거론하려 하고 있다.
문제는 대중들이 ‘가짜 뉴스’에 둔감하다는 점이다. 왜곡, 조작 등 오보를 아무리 해도 윤리적, 사회적 책임을 추궁하거나 역사적 심판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언론사와 기자 또한 ‘가짜 뉴스’에 둔감해졌다. 2012년 영국 BBC는 유명 정치인을 아동 성학대범으로 잘못 보도한 데 책임을 지고 조지 엔트위슬 사장이 사퇴했다. 1983년 독일의 시사 잡지 슈테른은 가짜 히틀러 일기장을 보도하며 “나치의 역사는 새로 기술해야 한다”고 보도했다가 일기장이 가짜로 판명된 이후 편집장과 기자가 형사 처분을 받았다. 1989년 일본 아사히신문은 자사 기자가 오키나와 거대 산호초에 ‘KY’낙서를 한 뒤 누군가 낙서를 했다며 거짓 기사를 내보내자, 해당 오보 과정을 철저히 규명한 뒤 아사히신문 사장이 사임했다.
2014년 세월호 전원 구조라는 ‘가짜 뉴스’이후 우리는 어떻게 대처했는가? '촛불 집회 100만 vs 태극기 집회 300만'이라는 뉴스가 난무하는 요즘, 미치광이의 말 한마디가 진실로 포장되기 쉬운 세상이 되어 버렸다. 안타깝게도 아직 우리 사회에 남은 충돌의 요소들이 산재해 있으며, 그래서 더 많은 ‘가짜 뉴스’가 등장할 것이라는 우려이다.
‘가짜 뉴스’를 최소화하기란, 민주 사회의 구현과 동일한 문제이다. 변화의 첫걸음으로 지금 내가 읽고 있는 뉴스 기사가 어떤 언론사의 기사이며 어떤 기자가 작성했는지, 뉴스의 출처를 확인하는 습관을 제안해 본다. 그리고 뉴스 기사는 포털의 검색 순위를 통한 소비가 아닌, 종이 신문이나 언론사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해 읽고, 보는 이용행태를 만들어 보자.
#60호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