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내고장 역사교실 제2부 ㉓ 목숨 걸고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한 이세화

입력 : 2017-06-02 16:38:00
수정 : 0000-00-00 00:00:00

 

목숨 걸고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한 이세화

 

● 이세화 선생 묘(경기도 기념물 제60호)


▲ 이세화 선생 묘(문화재청, 파주시 문산읍 선유리 89-4)


다시 문산에서 여행을 시작하자. 문산 사거리에서 법원리 방향으로 차를 몰고 가다가 다시 적성 방향으로 좌회전을 하여 선유리를 지나 약 1km 정도 더 가게 되면 새능 마을에 이른다. 새능 마을에 이세화 선생의 묘가 있다. ‘이세화’라는 이름은 얼핏 들어본 것 같지만 그래도 낯설다. 어떤 인물인지 살펴보자.

 

키는 작으나 풍채는 당당하다

이세화(1630~1701)는 23세 때 성균관에 입학하여 5년 동안 수학한 뒤 문과에 급제함에 따라 벼슬살이를 시작하였다. 그의 신도비에 따르면, 키는 보통보다 작았으나 풍채가 엄숙하고 위엄이 있어서 산처럼 의젓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중앙의 벼슬과 지방의 수령직을 오가며 업무를 잘 수행하여 품계도 차츰 올랐다. 그러나 이세화를 비판하는 자도 있어서 벼슬이 오르락내리락 하였다.

“경들은 서북 지역의 관찰사로 누가 좋을지 말씀해 보시오.”

“전하, 김 ○○가 좋을 뜻합니다.”

“아니옵니다. 박□□가 더 낫사옵니다.”

“경들은 왜 이세화의 재주가 충분한데도 관찰사로 추천하지 않는가?”

이렇게 해서 이세화는 임금의 명령에 따라 숙종 5년 처음으로 황해도관찰사의 직임을 맡았다. 그 뒤로 평안도, 함경도, 전라도, 경상도의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인현왕후를 보호하다가 유배를 가다

이세화는 경상도관찰사에서 스스로 물러난 뒤 시골로 내려갔다. 당시 숙종은 정비인 인현왕후로부터 후사를 얻지 못하고 있었다. 반면, 후궁인 장씨(장희빈)로부터 아들을 하나 얻어 기뻐하고 있었다. 숙종은 인현왕후를 폐하고 장씨의 아들을 원자로 삼고자 했다. 이 소식을 들은 이세화는 서울로 올라와서 오두인, 박태보 등 80여 명의 파산(관직에서 물러난 사람들)과 함께 반대 상소를 올렸다. 화가 난 숙종은 핵심 인물인 이세화, 오두인, 박태보를 한밤중에 직접 신문하며 장을 쳤다. 3인은 모두 장을 맞는 가운데에서도 인현왕후의 폐위는 불가하다고 말하였다. 모진 고문이 계속되자 이세화가 말하였다.

“신(臣)은 평소에 나라를 위하여 죽기를 바랐는데 이제 그 소원을 이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전하께서 밤을 지새우면서 하잘것없는 저를 친히 심문하시니 옥체가 손상되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저놈이 매를 버는구나. 매우 쳐라.”

이 사건을 기사환국(숙종 15, 1689)이라고 한다. 이때 오두인은 평안도 의주로 귀양을 가다가 파주 어디쯤에서 죽었고, 박태보는 전라도 진도로 유배를 가다가 노량진쯤에서 죽었으며, 이세화는 평안도 정주로 유배를 갔다.

 

시를 지어 박태보를 그리워하다

이세화는 유배에서 풀려나 선영이 있는 파주의 선유리로 돌아왔다. 이세화의 호는 쌍백당 또는 칠정이었는데, 칠정은 이세화가 머물던 곳을 일컫는다. 지금도 ‘칠정말’이라고 해서 지명이 남아 있기도 하다.

한편, 기사환국 때 죽은 박태보는 이전에 파주목사를 역임한 적이 있었다. 박태보는 오래되고 낡은 관아 건물을 새로 짓고 동헌(고을 수령이 공식 업무를 보던 건물) 이름을 풍락헌이라고 지었다. 죽은 박태보가 그리웠던지 이세화는 파주관아로 가서 풍락헌에 관한 시를 지어 추모했다.

 

사람은 가고 빈 동헌에 흔적만 남았는데

이제 그 맑은 뜻을 사람들이 우러르네.

남은 여생이 백수인 나 이관찰(이세화 자신)은

그날의 박사군(박태보)이 너무 그립구나.

 

-『파주예찬』, 한국문인협회 파주지부, 219쪽-

 

인현왕후 복위 행사를 주관하다

한편, 기사환국 이후 왕후가 된 장희빈이 점점 방자해지자 숙종은 숙의 최씨를 사랑하게 되었다. 폐위한 인현왕후도 그리워했다. 이때 장희빈의 오라버니 장희재가 숙의 최씨를 독살하려고 했다는 고변이 들어왔다. 이를 계기로 장희빈을 두둔하던 남인들이 정계에서 축출되었다. 이를 갑술환국(숙종 20. 1694)이라고 한다. 한편, 숙종은 인현왕후에게 충성을 다하던 이세화를 다시 등용하고자 했다.

“여봐라, 이세화에게 대사간의 벼슬을 내리노라.”

“여봐라, 이세화에게 호조판서의 벼슬을 내리노라.”

그러나 이세화는 그 벼슬들을 모두 거부하였다. 인현왕후의 복위가 결정되자 그때서야 인현왕후의 복위 행사를 주관하는 직임을 맡고 다시 벼슬을 살기 시작하였다. 후에 청백리로 뽑혔고, 숙종 27년(1701) 72세로 눈을 감고 파주의 선영에 묻혔다.

숙종은 정견보다는 감정적으로 정사를 처리하곤 했다. 특히, 왕실의 후사와 관련하여 두 차례에 걸쳐 여러 신하를 죽였다. 이러한 가운데 목숨을 걸고 지조와 견해를 지킨 이세화의 처신은 선비다운 자세라고 할 수 있다.


정헌호(역사교육 전문가)

 

#66호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