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행과 착오의 학교 ⑥ 오른편 좌석에 앉은 사람들이 더 웃고 더 울어

입력 : 2015-06-12 11:21:00
수정 : 0000-00-00 00:00:00


시행과 착오의 학교 





볼 시(視), 다닐 행(行), 어그러질 착(錯), 깨달을 오(悟)라고 해서 각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삶의 어그러진 곳을 깨닫기 위한 배움터라는 의미입니다.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시행착오를 발판삼아 좀 더 건강한 삶을 만들어가는데 도움이 되는 글을 나누고자 합니다.




 



오른편 좌석에 앉은 사람들이 왼편 사람들보다 더 웃고 더 울어



 





 



영화 좌석에 관한 흥미로운 실험이 있었다. 불가리아의 한 연구팀이 상영관에 들어온 관객들에게 스스로 앉고 싶은 자리를 선택하게 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크린의 오른쪽에서부터 앉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 이 현상에 대해 연구팀의 결론은 이렇다. 스크린의 오른쪽에서 영화를 볼 경우 관객의 위치에선 화면이 왼쪽에 놓이게 되는데 왼쪽 눈으로 들어온 시각정보가 우뇌를 거쳐서 처리되기 때문에 반대편 관객들에 비해 감정지수가 높아져서 영화에 훨씬 더 쉽게 몰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오른편 좌석에 앉은 사람들이 왼편에 앉은 사람들에 비해 더 많이 웃고 눈물도 많이 흘렸다고 한다.



 



이렇듯 우리가 평소에 느끼는 호오(好惡), 희로애락(喜怒哀樂) 등의 감정들은 인체의 오른쪽과 관계가 깊다. ‘오른’이란 본래 ‘바른’을 의미하는데, 오른손을 바른손이라고도 부르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영어의 right 역시 ‘올바른, 정당한’ 뜻과 나아가 ‘권리’라는 뜻도 내포하고 있어 한글 표현과 의미가 거의 같다. 또한 오른쪽과 관련된 용어와 문화에는 옳고 그름을 가른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무언가를 옳다고 하는 것은 옳지 않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 때문이다.



 



아이러니한 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을 이성에 근거하기 보다는 좋고 싫음 등의 감정을 우선한다는 것이다. 일례로 인간의 자유의지가 과연 존재하는 것일까에 대한 실험이 있었는데, 뇌파를 통해 측정해보니 피실험자가 의사결정을 내리기 0.5초 전에 이미 어떻게 할지에 대한 결정을 끝낸다고 한다. 즉, 자기결정, 자유의지라는 것은 그저 자신이 했다고 착각하는 허상일 뿐, 사실은 호불호라는 무의식적 판단기준이 사람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이 실험의 결론이었다.



 



그래서 어떻게든 적응하긴 했으나 끝내 마음에 내키지 않고 마지못해 하는 행동을 반복, 지속하다보면, 반드시 신체 오른쪽 분면에 여러 문제가 쌓여 신체적 증상으로 드러나게 된다. 흔히 오른쪽 옆구리가 켕기거나 보행할 때 오른 다리를 힘 있게 내딛지 못하고 끌고 다니는 듯한 모양의 보행습관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무언가 할 수밖에 없는 상황적 스트레스가 감정기능을 지속적으로 억압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감정이 무뎌져 공감능력이 저하되고 심하면 자신의 행동을 제어할 수 없는 강박증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그렇다고 해서 감정적으로 끌리는 행동만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는 않다. 하루에도 열두 번 넘게 변하는 게 사람의 마음이라고 하듯이 순간순간의 감정에만 빠지게 되면 행동의 일관성이 무너져 생활의 리듬이 깨지기 쉽다. 결국엔 하고 싶은 것, 옳다고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되, 자신만의 좁은 견해에서 벗어나 사회적으로도 옳은 방향으로 나아갈 때 가장 건강한 감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감정(感情)과 이성(理性)의 균형, 즉, 감성(感性)이라고 한다.



 



 



글 카페방하 봄동 유창석 한의사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