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득구 국회의원 , 교원치유 상담 한 해 2 만건 넘지만 상담사 인력은 29 명뿐, 교육부 지적
강득구 국회의원 , 교원치유 상담 한 해 2 만건 넘지만 상담사 인력은 29 명 교육부 지적
- 교원치유지원센터 상담 · 심리치료 △ 2020 년 9,434 건 △ 2021 년 15,412 건 △ 2022 년 21,964 건 ... 2 년새 2 배 이상 급증
- 강득구 , “ 교원치유지원센터 관련 예산 확대 필요 .. 교사의 심리적 · 정서적 문제 적극해결해야 ”
교원치유지원센터 상담 · 심리치료 건수가 2020 년 9,434 건에서 2022 년 21,964 건으로 2 배 이상 급증했다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강득구 의원 ( 더불어민주당 , 안양만안 ) 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교원치유지원센터 내 교원의 상담 · 심리치료 건수가 △ 2020 년 9,434 건 △ 2021 년 15,412 건 △ 2022 년 21,964 건으로 2 년새 2 배 이상 급증했다 .
반면에 , 강득구 의원이 전국 17 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시도교육청 산하 교원치유지원센터 상담사 현황 자료에 따르면 현재 재직 중인 상담사는 총 29 명이었다 .
경기도가 7 명으로 가장 많았고 , 경남이 3 명이며 대부분의 시도교육청에서는 매년 1~2 명의 상담사가 배치되어있다 . 특히 , 강원 , 경북 , 대전 , 서울 , 울산 , 인천 , 전남 , 제주 , 충남 , 충북의 경우 2020 년부터 현재까지 상담사 인력이 1 명에 그쳤다 . 상담 · 심리치료 건수는 급증하는 추세지만 , 이에 맞는 인력 편성을 부족한 실정이다 .
교육부는 교권회복 차원에서 교사들이 교원치유지원센터에서 상담 · 치료받을 수 있게 지원한다는 입장인데 , 관련 시설과 인력 지원 등 실질적인 조치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강득구 의원은 “ 교원의 심리적 , 정서적 문제로 인해 심리치료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맞는 인력과 예산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 며 , “ 교원치유지원센터가 교권침해나 학교사고 등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했을시 제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실화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붙임1] 시도별 교원치유지원센터 상담·심리치료지원 현황
(단위: 건)
지역
상담
심리치료
소계
2020
2021
2022
소계
2020
2021
2022
서울
4,234
192
2,762
1,280
570
174
102
294
부산
3,238
873
1,057
1,308
29
6
9
14
대구
2,321
609
881
831
51
9
19
23
인천
2,189
308
363
1,518
1,977
771
812
394
광주
2491
531
871
1,089
390
95
161
134
대전
2,007
87
642
1,278
54
10
16
28
울산
360
46
148
166
24
8
16
0
세종
1755
343
761
651
87
4
50
33
경기
5,106
693
711
3,702
616
31
69
516
강원
2,949
1,032
476
1,441
9
0
4
5
충북
5,357
1,226
1,560
2,571
145
24
44
77
충남
2,883
536
1,355
992
954
258
305
391
전북
352
9
114
229
118
3
28
87
전남
611
306
193
112
139
47
69
23
경북
708
101
127
480
131
16
25
90
경남
4,081
960
1,362
1,759
80
6
24
50
제주
714
84
238
392
80
36
38
6
전국
41,356
7,936
13,621
19,799
5,454
1,498
1,791
2,165
(자료: 교육부)
[붙임2] 최근3년간(2020~2023년 현재) 교원치유지원센터 상담사 인력 현황
2020
2021
2022
2023.09.(현재)
강원
1
1
1
1
경기
1
1
4
7
경남
2
3
3
3
경북
1
1
1
1
광주
2
2
2
2
대구
1
1
1
2
대전
1
1
1
1
부산
2
2
2
1
서울
1
1
1
1
세종
1
1
1
2
울산
1
1
1
1
인천
1
1
1
1
전남
1
1
1
1
전북
2
2
2
2
제주
1
1
1
충남
1
1
1
1
충북
1
1
1
1
(자료: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강득구의원실 재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