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콩달콩이야기 <3> 고디바에서 응원봉까지
알콩달콩이야기 <3> 고디바에서 응원봉까지 평화마을짓자 이사장 정진화 천년 전 영국의 코벤트리에 고디바 백작부인이 살고 있었다. 봉건영주인 남편 레오프릭 백작은 농민들에게 높은 세금을 내라고 하여 농민들의 시름이 깊었고 굶어...
2025-04-18 11:44:30
먼나라 옆나라, 북한을 알자 <4> 우리 반의 안경쟁이
먼나라 옆나라, 북한을 알자 <3> 지금 북한은 가짜뉴스와 전쟁 중 이은혜(가명, 북향작가) 고등학교 때 우리 반에는 ‘안경쟁이’가 한 명 있었다. 북한에서는 안...
2025-04-17 04:44:57
4.20 세계 대마의 날 <풀> 특별 시사회 및 대마 비범죄화 선언문 낭독
4.20 세계 대마의 날 <풀> 특별 시사회 및 대마 비범죄화 선언문 낭독 2025년 4월20일 오후4시20분, 대마초 비범죄화를 기원하며 다큐멘터리 <풀>의 시사회를 개최합니다. • 일시...
2025-04-10 08:11:14
먼나라 옆나라, 북한을 알자 <3> 지금 북한은 가짜뉴스와 전쟁 중
먼나라 옆나라, 북한을 알자 <3> 지금 북한은 가짜뉴스와 전쟁 중 이은혜(가명, 북향작가) 얼마 전 국내의 유명한 대북 매체가 북한이 내부적으로 배포한 해설 담화자료(강의 자료)를 입수하여 내용 일부를 보도했다. 해당 ...
2025-04-08 09:33:45
먼나라 옆나라, 북한을 알자 <2> 북한에서는 왜 쿠데타가 일어나지 않아요?
먼나라 옆나라, 북한을 알자 <2> 북한에서는 왜 쿠데타가 일어나지 않아요? &nbs...
2025-04-08 09:20:54
눈을 들어 <7>아동 학살범 이스라엘, 드디어 유엔의 아동 학살자 리스트에 오르다
눈을 들어 <7>아동 학살범 이스라엘, 드디어 유엔의 아동 학살자 리스트에 오르다 ▲ 이스라엘의 무차별적 공격으로 울부짖는 아이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아동을 2만명 가까이 학살한 뒤, UN이 드디...
2025-04-08 08:34:05
<이강석의 내운명을 바꾼 한글자> militiaperson-ape
<이강석의 내운명을 바꾼 한글자> militiaperson-ape 의병(militiaperson)이 되어 언제나 나라를 위기에서 구해낸다! militiaperson-ape 몹시 춥고 눈이 많이 내린 날, 연천 미...
2025-02-26 01:26:39
알콩달콩 이야기 <2> 순천만에 공릉천 있다
알콩달콩 이야기 <2> 순천만에 공릉천 있다 정 진 화(평화마을짓자 이사장) 눈이 펑펑 내리고 난 이월의 어느 날, 밤새 얼어붙은 길을 따라 살금살금 ‘공릉천친구들’이 순천만...
2025-02-26 01:20:54
알콩달콩이야기 <1>모두가 행복한 설날 되소서 - 정진화(평화마을짓자 이사장)
알콩달콩 이야기 <1> 모두가 행복한 설날 되소서 &nbs...
2025-02-18 06:14:15
먼나라 옆나라 <1> 북한의 설 풍경
먼나라 옆나라 <1> 북한의 설 풍경 음식(떡국, 송편 , 돼지고기) 북한 사람들은 설에 어떤 음식을 먹을까. 우리와 마찬가지로 설날에는 떡국을 먹는다. 나이만큼의 떡국떡을 먹어야 한다는 속설도 있지만, 실제로 떡을 세어 먹는 사람은...
2025-02-18 06:00:35
1도시1책읽기운동 - [막손이 두부]를 읽고 (마지막회)
1도시1책읽기운동 - [막손이 두부]를 읽고 (마지막회) <편집자주> 2024 파주시 ‘1도시1책 읽기운동’의 선정도서는 [막손이 두부]였습니다. [막손이 두부]를 읽고, 감상문을 쓰고, 저자와의 합동문학콘서트, 토론회 등의...
2025-01-02 08:06:34
아름다운 얼굴 <144> 설치작가 차주만 - 베를린 장벽 거리에 설치작업 '믿음만 있으면 건널 수 있다'
아름다운 얼굴 <144> 설치작가 차주만 베를린 장벽 거리에 설치작업 '믿음만 있으면 건널 수 있다' 차주만 작가는 작년 ‘한국전쟁 정전 70주년-베를린 평화 프로젝트&rsq...
2024-12-23 05:32:24
서로의 산타가 된 자운학교 예술제
서로의 산타가 된 자운학교 예술제 - "인류를 살리는 것은, 결국 타인을 위한 눈물 한 방울이다.” ...
2024-11-28 09:05:45
<공릉천 상상포럼> 토론5 : 파주 공릉천에서의 작은 시작 - 임희정
<공릉천 상상포럼> 토론5 : 파주 공릉천에서의 작은 시작 임희정(한국스탠포드센터, 도시지속가능성 연구디렉터) 법적 인격을 부여받은 왕가누이강 140년. 뉴질랜드 마오리 부족...
2024-11-18 07:53:01
<공릉천 상상포럼> 토론 4: 생태적 기능과 환경적 역할을 수행하는 임무를 가진 정원으로의 첫발 - 홍익대 안성희
<공릉천 상상포럼> 토론 4: 생태적 기능과 환경적 역할을 수행하는 임무를 가진 정원으로의 첫발 홍익대 안성희 어느 한 부분만 고려하기 어려운 복합적 이슈 기후 변화 그리고 우리에게 필요한 ...
2024-11-18 07: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