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와 오해 ⑪ 주나라 후직의 탄생설화가 예수탄생 예언서가 되다
주나라 후직의 탄생설화가 예수탄생 예언서가 되다 피겨리즘(Figurism=구약상징론)"은 17세기 말~18세기 초, 중국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화된 선교방식을 찾기 위해 벌인 지적운동을 가리킨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중국 지식인들을 상대하기는 것보다 청...
2015-03-31 12:27:00
이해와 오해 ⑩ 아름다운 술 얘기- 소흥주
아름다운 술 얘기- 소흥주 술은 그 자체로도 멋있는 음식이지만 전설과 역사가 그 술 속에 녹아든다면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운 음식이 된다. 중국의 술은 크게 백주와 황주로 나뉘는데, 술의 색깔-무색(백주)과 갈색(황주)-과 원료-수수(백주)와 쌀(황주)-와 양...
2015-03-11 13:37:00이해와 오해 ⑨ 봄이 왔는데도 왜 새들이 지저귀지 않는가?
봄이 왔는데도 왜 새들이 지저귀지 않는가? 봄이 왔는데도 왜 새들이 지저귀지 않는가? 새들은 어디로 갔을까? 1962년에 출간된 레이첼 카슨(1907-1964)의 저서 『침묵의 봄』은 현대 환경운동의 등장을 알린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이 책은 화학산업과 그것이...
2015-02-26 10:56:00이해와 오해 ⑧ 몽고 말(馬)
몽고 말(馬) 칭기즈칸은 유럽과 아시아를 하나로 연결하는 대제국을 건설했다. 학자들은 칭기즈칸이 말 위에서 제국을 만들고 통치했다고 표현하는데 그만큼 몽고의 군사력에서 말이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이 컸다는 의미이다. 제국을 건설한 중요한 병기였던 (몽고)말이...
2015-02-10 13:36:00
이해와 오해 ⑦ 서태후(西太后)의 영광과 치욕
서태후(西太后)의 영광과 치욕 중국 근대사의 주요 등장인물 가운데 서태후는 여성으로서 제국의 최고 권력을 휘둘렀기에 일화가 많아 그에 관한 얘기는 사극의 단골 주제가 되고 있다. 그는 세 황제(동치同治, 광서光緖, 부의溥儀)를 거느리고 반세기(1861~190...
2015-01-23 14:22:00
이해와 오해 ⑥ 갑골문 이야기
갑골문 이야기 세계의 4대 고대문자 중에서 이집트의 파피루스 문자, 바빌로니아의 진흙 판에 기록한 문자, 마야 문자는 진화 과정에서 정지하거나 사용되지 않아 역사의 무대에서 소멸되었다. 오직 중국의 갑골문만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갑골문은 중국의 은상(殷...
2015-01-12 15:11:00이해와 오해 ⑤ 표준어와 사투리
표준어와 사투리 땅감, 조개기름, 꿀아제비... 어떤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말이다. 1936년 조선어 학회에서 사정하고 공표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보완하여 1988년 1월에 문교부가 고시한 표준어의 정의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이다. 왜...
2014-12-22 15:54:00
이해와 오해 ④ 발굴? 도굴? 약탈? 인디아나 존스 이야기
발굴? 도굴? 약탈? 인디아나 존스 이야기 강단에서 나비넥타이를 매고 고고학을 강의하던 잘 생긴 교수가 어느 날 낡은 가방을 둘러매고 가죽 채찍 하나만 달랑 든 채 미개인(?)의 마을로 달려간다. 그는 미개한 문명의 문물을 악당들로부터 지켜내거나 그것들을 미국으로...
2014-12-10 11:24:00
이해와 오해 ③ 짜장면과 동학혁명
짜장면과 동학혁명 중국의 여러 지방, 특히 북방에는 각지의 특색 있는 짜장면[炸醬麵]이 있다. 조리 방식은 한국의 짜장면과 유사한데 맛은 전혀 다르지만 서민들이 간단하게 한 끼 때우는 음식이란 점에서는 같다. 한국의 짜장면은 중국이 원산이지만 철저하게 한국화되어서...
2014-11-20 16:40:00
이해와 오해 ② 한국인 2차 · 3차, 중국인은 한 자리에
한국인 2차 · 3차, 중국인은 한 자리에 보통의 한국 사람은 보통의 중국사람이 술을 엄청나게 마신다고 생각한다. 그런 단정(?)은 한국의 보통 사람이라면 대략은 알고 있는 중국 고전문학과 흔히 접했던 홍콩 무협영화로부터 영향을 받은 바가 큰 것 같다. 수호지에 ...
2014-11-20 16:35:00
이해와 오해 ① 한국과 중국의 식당
한국과 중국의 식당 한국과 중국은 지리, 문화, 역사를 통해 오래전부터 교류해 왔기 때문에 두 나라의 보통 시민들은 상대방 문화를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한국사람은 삼국지연의, 수호지, 서유기 등의 내용을 통해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2014-11-12 22:5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