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회적경제 활성화 위해 경기도형 사회적 금융 생태계 조성해야” - 경기연구원, <사회적경제 활성화, 사회적 금융생태계 조성해야> 발간

입력 : 2024-01-04 04:12:38
수정 : 0000-00-00 00:00:00

“사회적경제 활성화 위해 경기도형 사회적 금융 생태계 조성해야”

- 경기연구원, <사회적경제 활성화, 사회적 금융생태계 조성해야> 발간

-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금융생태계 기반의 지역 관계 금융 강화 필요
- 지자체의 사회적경제 기금,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매우 유용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일반 금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감독할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을 설립하는 등 경기도형 사회적 금융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사회적경제 활성화, 사회적 금융생태계 조성해야’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사회적 금융(social finance)은 재무적 이익과 함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추구하는 금융으로 사회적경제 기업 등에 대한 투자·융자·보증 등의 금융 활동부터 보조금, 자선활동, 사회책임투자 등까지 포함하고 있다. 한국의 사회적 금융은 중소기업·서민 정책금융 지원체계 내에서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한 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사회적 금융은 주로 중소기업·서민 정책금융 지원체계 내에서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한 대출 지원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사회적경제의 육성에는 한계가 있으며,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공공지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금융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농협 및 수협 등 협동조합형 금융기관을 사회적경제 조직의 하나로 규정해 지역 금융기관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협동조합형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권은 지방자치단체에게 이양해 지역 기반 관계 금융의 형성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역 관계 금융은 사회적경제를 지원하고 금융소외계층들을 위한 금융이 될 수 있어 사회적 가치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연구원은 경기도가 추진하는 사회적경제 비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기반 사회적 금융생태계 조성 및 경기도형 사회적 금융 모델로 구축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실질적이고 통합적인 지역 단위 도매기금 운용기관으로서의 역할 추진 ▲사회적경제 기금 소셜임팩트 펀드 투자뿐 아니라 비영리 융자, 온라인을 통해 대출-투자를 연결하는 P2P 연계 등 다양한 금융 수요에 대응 ▲경기도 사회적 금융생태계 구축을 위해 ‘(가칭) 경기 사회적 금융 협의회’를 구성 및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 육성 등을 제시했다.

김은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금융생태계 조성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금융생태계의 기반으로서 지역 관계 금융 강화가 필요하다”며 “일반 금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일반은행의 사회적 금융 관련 대출 및 투자 비중을 높이는 것도 필요하다. 사회적 금융생태계 조성을 위해 사회투자자로서 민간 공익법인의 참여 활성화가 필요하므로 이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고,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의 설립과 활성화가 필수 요건이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

시도별 사회적경제 기업 수 현황(2022년 12월 기준)

(단위: 개, (   )은 %)

시도별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소셜벤처기업

합계

3,534

23,915

1,770

1,012

2,184

(100.0)

(100.0)

(100.0)

(100.0)

(100.0)

서울

596

4,992

109

138

576

(16.9)

(20.9)

(6.2)

(13.6)

(26.4)

부산

163

1,063

73

62

125

(4.6)

(4.4)

(4.1)

(6.1)

(5.7)

대구

134

918

98

44

74

(3.8)

(3.8)

(5.5)

(4.3)

(3.4)

인천

209

691

58

39

101

(5.9)

(2.9)

(3.3)

(3.9)

(4.6)

광주

147

1,088

67

35

71

(4.2)

(4.5)

(3.8)

(3.5)

(3.3)

대전

112

915

59

20

86

(3.2)

(3.8)

(3.3)

(2.0)

(3.9)

울산

119

455

48

19

44

(3.4)

(1.9)

(2.7)

(1.9)

(2.0)

세종

28

216

35

10

24

(0.8)

(0.9)

(2.0)

(1.0)

(1.1)

경기

619

4,416

208

172

397

(17.5)

(18.5)

(11.8)

(17.0)

(18.2)

강원

204

1,370

140

55

77

(5.8)

(5.7)

(7.9)

(5.4)

(3.5)

충북

147

774

94

42

84

(4.2)

(3.2)

(5.3)

(4.2)

(3.8)

충남

144

1,118

158

51

77

(4.1)

(4.7)

(8.9)

(5.0)

(3.5)

전북

200

1,608

113

91

106

(5.7)

(6.7)

(6.4)

(9.0)

(4.9)

전남

198

1,413

201

74

89

(5.6)

(5.9)

(11.4)

(7.3)

(4.1)

경북

242

1,239

141

76

133

(6.8)

(5.2)

(8.0)

(7.5)

(6.1)

경남

182

1,230

128

64

85

(5.1)

(5.1)

(7.2)

(6.3)

(3.9)

제주

90

409

40

20

35

(2.5)

(1.7)

(2.3)

(2.0)

(1.6)

주: 소셜벤처기업은 2021년 기준 데이터

자료: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23);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sub/a06/b06/village/screen.do”(23.11.14. 검색);
     한국자활복지개발원 “https://www.kdissw.or.kr menu.es? mid=a10601050000” (2023.11.14. 검색);

     소셜벤처스퀘어 “https://sv.kibo.or.kr/Archive/Mate0001.do”(23.11.14 검색).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