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경기도 광교 신청사, 공용차량 운영도 투명하고 스마트하게 -사물인터넷(IoT) 활용 스마트 배차시스템 7월 전격 도입

입력 : 2022-06-29 02:32:19
수정 : 0000-00-00 00:00:00

경기도 광교 신청사, 공용차량 운영도 투명하고 스마트하게

-사물인터넷(IoT) 활용 스마트 배차시스템 7월 전격 도입

경기도는 광교 신청사에서 공무원들의 편리한 출장 지원과 투명한 공용차 관리를 위해 71일부터 공용차량 70대를 대상으로 스마트 배차시스운행을 시작한다.

스마트 배차시스템이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차량 관리 부서를 방문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앱으로 간편하게 차량을 이용하고, 자동으로 운행일지, 배터리 상태, 연료 잔량 등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배차시스템을 이용하면 휴일이나 주말에도 24시간 내내 차량 예약·반납이 가능하고, 차량에 스마트키가 매립돼 있어 차 키 수령을 위해 배차실을 방문할 필요가 없어지는 등 배차 절차가 간소화된다. 뿐만 아니라 운행일지가 자동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운행일지를 수기 작성해 발생하는 불편함과 부정확성 문제가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용차량의 운행 거리, 배차 횟수, 연료 잔량 등 객관적 데이터를 수집·분석할 수 있어 차량의 활용성을 높여, 도는 공용차량 증·감차 계획에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도는 지난 1월부터 4개월간 10대의 차량을 대상으로 스마트배차 시범운영을 통해 안정성을 확인했으며, 이용 직원의 98%이용에 만족한다고 평가했다.

기이도 도 자산관리과장은 스마트 배차가 도입되면 공용차량 효율성이 증가해 더 적극적으로 도민 민원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배차업와 운행일지 관리 등 절감되는 행정력은 지정 주차제 운행 등으로 활용해 직원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공용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스마트 배차는 8월 직원 만족도 조사를 통해 개선점을 파악하고, 9월에 차량 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추가할 예정이다.

 

경기도 공용차량 스마트배차 관련 참고 자료

시스템 개요

스마트 배차 : 스마트폰을 활용, 간편하게 차량을 배차신청·이용하고, 운행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배차시스템

출장 배차 많은 10개 부서에 대해 10대 시범운행 (’22.01.03~22.04.03) 직원 만족 98%

 

주요 기능

- 배차 관리 :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배차신청, 모바일 차량 key

- 일지 작성 : 운전자 운행일지 작성 필요 없이 자동 작성되어 저장

- 데이터분석 : 주행 기록, 주요 배차시간 등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차량 관제 : 실시간으로 차량 위치 및 이동경로 파악

 

 

이용방법

- 플레이스토어(Playstore)에서 AI Net-s (공공기관용) 다운

 

 

사용자 로그인 시간/장소 선택 차량선택 스마트키 발급 차량반납

 

도입효과

 

절차가 간소화되어 차량 배차 및 반납 소요시간 절감

차량운행일지가 자동 작성되어 이용자 및 관리 편의성 제고

차량 운행 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공용차량 활용 효율 증대

운행관제를 활용하여 긴급사고 등 위기 상황에 경로 추적을 통한 신속 대응

주말 및 휴일 관계없이 24시간 배차 담당자 없이 차량 배차 및 반납가능

 

 

운영계획

신청사 이전에 따른 시스템 시범운영 확대 시행

- 도입시기 : ’22. 07

- 도입대상 : 업무용 차량 70

- 이용대상: 신청사 공용차량 이용자 (Ai Net-s 어플 회원가입 필요)

- 신청방법 : 70대 차량을 어플로 신청하는 순서대로 선착순 배차

- 만족도조사 : 이용자 만족도 평가(8)를 시행하여 개선점 반영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