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정 의원, GMO가공식품 수입 10년간 9배 급증
김현정 의원, GMO가공식품 수입 10년간 9배 급증
- 식약처 국감자료, 2013년 이후 수입 매년 늘어나 원료표시제 강화 시급
- 코스트코, 이마트, 버거킹 등 대형마트, 외식 프랜차이즈 중심 수입 확대
지난 10년 이상 해마다 수입량이 늘어난 GMO(유전자변형농산물)를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이 코스트코, 이마트, 버거킹 등 대형마트와 프랜차이즈 등을 통해서 유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GMO를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 수입이 대형마트, 외식업체를 중심으로 크게 늘어남에 따라 GMO완전표시제를 비롯한 원료 표시제 개선과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국회의원(평택시병,정무위원회)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부터 2024년 8월까지 GMO가공식품 수입 실적 자료에 따르면 GMO가공식품은 2013년 348개 업체들이 1만3,795톤을 수입한데 이어, 2017년 939개 업체들이 전년보다 200%늘어난 2,856억원어치(7만8,991톤), 2022년 4,659억원(11만톤), 지난해에는 1,138개 업체들이 전년보다 31%증가한 6,113억원어치(12만7,739톤)를 수입했다. GMO가공식품 수입은 올 연말께 6,500억원어치, 15만톤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 GMO가공식품의 연도별 수입업체수·수입중량·수입금액 >
연도
수입업체수
(개)
수입중량
(톤)
수입금액
(천달러)
연도
수입업체수
(개)
수입중량
(톤)
수입금액
(천달러)
2013
348
13,796
38,125
2019
1,029
85,316
264,666
2014
399
18,035
59,102
2020
1,028
84,984
247,798
2015
487
19,027
64,282
2021
995
93,110
288,023
2016
503
26,426
73,191
2022
1,016
110,784
358,375
2017
939
78,991
219,700
2023
1,138
127,759
470,253
2018
938
75,226
253,863
2024.8
1,103
106,729
349,572
※ 출처 : 김현정 국회의원,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10
GMO가공식품의 수요처는 주로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식재료 공급업체 등으로 나타났다. 2013년부터 올 8월말까지 코스트코코리아가 2,868억원어치(5만3,746톤)를 수입해 같은 기간 1,645억원어치(2만4,858톤)을 수입한 이마트와 함께 나란히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모노마트와 일식 외식체인‘하코야’를 운영하는 엘에프푸드가 1,174억원어치(2만2,410톤)를 수입했다.
< GMO가공식품의 주요 수입업체 >
수입업체명
수입액 (2013~2024.8)
수입량
(톤)
비 고
미화
(단위:천달러)
원화 (단위:백만원)
(주)코스트코코리아
220,614
286,798
53,746
대형마트
(주)이마트
126,516
164,471
24,858
대형마트
(주)엘에프푸드
90,281
117,365
22,410
모노마트, 일식HM 하코야
코리아후드써비스
74,925
97,402
17,214
마틴브라워 한국지사,
맥도날드 식재료 공급
이멕스무역(주)
58,105
75,536
16,829
수입식품할인매장 프랜차이즈
(주)가토코
37,315
48,510
14,738
수입식품 유통, 아워홈 등 대기업 급식 식자재 공급
마틴브라워코리아천안지점
37,115
48,250
19,300
마틴브라워 천안지점
주식회사 비케이알
36,724
47,741
22,569
버거킹 식재료 공급
(주)한국축지
28,825
37,472
9,703
초밥 식재료 수입 공급
롯데상사(주)
26,653
34,648
9,602
롯데마트, 롯데리아 등
(주)조흥
25,921
33,698
14,568
치즈, 빵크림, 피자, 이스트 등
주식회사 강동케이앤드에스
17,251
22,426
33,223
가공식품(수입김치 등) 도매업
주식회사 젤리젤리
17,005
22,107
5,484
빵류, 과자류, 초콜릿 등
(주)새안글로벌
15,266
19,846
8,402
냉동통감자 등 수입식품 유통
미성패밀리(주)
14,361
18,670
3,808
수입식품전문유통업체
주식회사 진유원
9,990
12,987
21,251
대기업 식용유 OEM 생산
대상(주)
9,135
11,876
5,756
식품대기업
※ 출처 : 김현정 국회의원,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10
맥도날드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마틴브라워의 한국지사인 코리아후드써비스는 974억원어치(1만7,214톤), 마틴브라워코리아 천안지점은 483억원어치(1만9,300톤)를 수입했다.
또한 수입식품 할인매장과 프랜차이즈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이멕스무역은 755억원어치(1만6,829톤)를 수입했다.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 신세계푸드, 그리고 GS리테일 등에 식재료를 납품하는 가토코는 485억원어치(1만4,738톤)을 사들였다.
같은기간 버거킹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주식회사 비케이알은 477억원어치, 롯데상사와 대상은 각각 346억원어치와 119억원어치를 수입했다.
이와 함께 품목별로 GMO가공식품 수입량을 살펴보면 ▲과자류·빵류·떡류 11만톤 ▲농산가공식품류 12만5,354톤 ▲절임류·조림류 4만5,070톤 ▲조미식품 2만2,041톤 ▲서류(감자 등)가공품 2만1,236톤 ▲장류 9,416톤 ▲두부류·묵류 8,563톤 등으로 집계됐다.
< GMO가공식품의 주요 수입품목 >
품목
금액(천달러)
중량(톤)
품목
금액(천달러)
중량(톤)
과자류·빵류·떡류
341,313
110,054
농산가공식품류
162,407
125,354
조미식품
75,247
22.041
코코아가공품·초콜릿류
46,320
7,678
서류가공품
30,667
21,236
두부류·묵류
27,880
8,563
절임류·조림류
23,476
45,070
장류
19,843
9,416
면류
15,475
7,504
기타 식품류
15,349
4,960
즉식식품류
12,374
3,081
캔디류
7,270
1,608
식육가공품류
6,705
1,204
수산가공식품류
6,680
137
식용유지류
1,672
717
음료류
1,369
1,073
※ 출처 : 김현정 국회의원,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10
김현정 의원은“GMO가공식품 수입은 지난 10년간 급증했고, 이런 추세는 최근 더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며“소비자들이 대형마트와 외식체인으로 통해 유통되고 있는 GMO가공식품에 대해 제대로 알고 사먹을 수 있도록 GMO완전표시제 도입은 물론, 소비자 눈높이에 맞춰 GMO를 이용해서 만든 식품에 대한 표시제를 개선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