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숙 국회의원 분석, 국립대병원 10곳, 매년 간호사 퇴직 1,500명 넘어.
강경숙 국회의원 분석, 국립대병원 10곳, 매년 간호사 퇴직 1,500명 넘어.
지난해 퇴직 간호사 중‘저연차’ 86.7%
- 지난해 퇴직 간호사 중 입사 1년 안 된 신규 간호사 43.6% 가장 많아
- 강경숙 의원, “의료 서비스 질 저하되지 않도록 간호사 근무 환경 등 근본적 대책 마련해야”
국립대병원 10곳에서 최근 3년간 매년 1,500명이 넘는 간호사가 퇴직했다.
강경숙 의원실이 전국 10개 국립대병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립대병원 10곳(본·분원 포함)에서 최근 3년간(2021~2023년) 매년 1,500명이 넘는 간호사가 퇴직했다. 연도별로는 ∆2021년 1,579명 ∆2022년 1,774명 ∆2023년 1,501명이었다.
올해 상반기(2024년 7월말까지)에도 724명이 퇴직했는데, 하반기까지 포함되면 올해도 예년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해 퇴직한 간호사 1,501명 중 근무 기간이 5년 이내인 저연차 간호사 비중은 1,302명(86.7%)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특히 입사한 지 1년도 안 돼 일을 그만 둔 경우가 655명(43.6%)으로 가장 많았으며, ∆1~5년 내 647명(43.1%) ∆5~10년 내 136명(9.1%) ∆10년 초과 63명(4.2%) 순이었다.
신규 간호사들이 병원에 적응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교육 부실이 꼽힌다.
강경숙 의원은 “고령화로 인해 앞으로 보건의료에 대한 중요성이 더 강조되는 가운데, 간호사 이탈 문제를 이대로 방지하면 환자들을 위한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나아가, “근본적으로 간호사의 근무 환경과 처우를 개선하고 간호사 1인당 환자수를 줄이기 위한 법적·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1대 국회를 통과한 간호법은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폐기된 지 1년여 만인 올해 8월 여야 합의로 통과되었다.(끝)
[표]1. 전국 국립대병원 10곳의 최근 3년간 간호사 퇴직 현황
2021
2022
2023
2024년 7월말
강원대병원
57
55
45
37
경북대병원
207
231
170
91
경상국립대병원
168
226
171
85
부산대병원
161
175
165
65
양산부산대병원
161
160
124
60
서울대병원
180
177
165
76
전남대학교병원
127
186
177
71
전북대학교병원
121
131
107
37
제주대학교병원
45
56
49
39
충남대학교병원(본원)
147
158
136
77
세종충남대학교병원(분원)
66
95
61
25
충북대학교병원
139
124
131
61
합계
1579
1774
1501
724
(자료: 국립대병원 10곳, 강경숙의원실)
[표]2. 전국 국립대병원 10곳의 2023년 퇴직한 간호사의 근무 기간
1년내
1-5년내
5-10년내
10년 초과
강원대병원
7
25
12
1
경북대병원
103
53
11
3
경상국립대병원
69
85
16
1
부산대병원
89
61
13
2
양산부산대병원
52
56
11
5
서울대병원
47
73
19
26
전남대학교병원
99
61
9
8
전북대학교병원
33
53
13
8
제주대학교병원
11
27
7
4
충남대학교병원(본원)
43
79
11
3
충남대학교병원(분원)
30
29
2
0
충북대학교병원
72
45
12
2
합계
655
647
136
63
(자료: 국립대병원 10곳, 강경숙의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