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에서신문

고령화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나도 한마디 | 작성일: 2015-12-04 10:41:00 | 수정일: 0000-00-00 00:00:00
고령화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요즘 점점 평균연령이 높아지면서 아이의 수보다 노인의 수가 더 많아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고령화 사회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점점 고령화 사회가 심각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에서는 어떠한 문제들이 나타날까?



 



일단 고령화는 고령자의 수가 증가해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자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많이들 알고 있듯이 고령화를 비율에 따라 구분지어 보면 총인구의 7%이상을 노인인구가 차지하면 고령화사회, 14%이상이면 고령사회, 20%이상이면 초고령화사회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해 세계 최고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고 2050년 정도에는 아마 세계 최고령 국가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이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고령화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 번째 이유로는 아이를 적게 낳아 아이의 수는 줄고 노인의 수는 증가하는 저출산 현상이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가장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결혼,자녀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경제적 부담, 초혼과 출산연령의 상승등의 이유로 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과학,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의 연장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늘어난 수명에 비해 노인복지시스템의 부족이나 이를 위한 자원봉사자나 후원자의 모집이나 관리가 부족하고 노인이 필요로 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고령화가 발생한 원인을 볼 수 있다.



 



첫 번째 원인이었던 출산률 저하에 대해서는 국공립어린이집을 확충하고 다자녀 가구에게 혜택을 주는 가족사랑카드 발급이나 임신, 출산 후 계속적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방법 등이 있다. 그리고 평균수명연장에 대한 해결방안은 고령자 고용제도를 더 도입하고 원활하고 활동적인 실버산업을 육성하고 국민연금제도를 보완하는 방법등이 있다.



 



이처럼 점점 더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사회에 대비하여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더 가지고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김희선(고2) 「파주에서 Teen」청소년기자



 


관련 글 (카테고리: 나도 한마디)

행정기관
파주시청 파주시의회 파주경찰서 경기도청 경기교육청
지역언론 협동조합 협의회
부천 콩나물신문 양평시민의소리 거창 한들신문 춘천사람들 사람과세상
예술로 통하다 꼴통협동조합
논밭예술학교 쌈지농부 삼무곡 예술공간 유기견 무료분양 뉴스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