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흥미진진 과학스토리 ㉚ 물고기도 투표한다

입력 : 2017-05-11 14:03:00
수정 : 0000-00-00 00:00:00

 

물고기도 투표한다 

 

프린스턴 대학교의 진화생물학자 이아인 쿠진은 이렇게 말한다. “물고기 무리에서부터 새 떼, 그리고 영장류 집단에 이르기까지, 모든 동물 집단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속성은 ‘목적지와 과제를 결정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투표를 한다’는 것이다.” 쿠진의 말은 이렇게 이어진다. “물고기 한 마리가 잠재적인 식량원을 향해 나아갈 때, 다른 물고기들은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그를 따를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처럼 고도의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내린 집단적 의사결정은 어느 개체가 단독으로 내린 의사 결정보다 우수하다.”

(출처: 물고기는 알고 있다, 조너선 벨컴, 에이도스 출간. ‘물고기의 사회생활’ 중에서, 236쪽)

 

정어리떼나 가창오리 같은 동물들의 번성에는 집단지성에 근거한 민주적인 의사결정구조가 있다는 주장이다. 위의 책을 계속 인용한다.

“우리는 물고기 개체들의 외모를 보고, ‘물고기 집단이 어느 개체를 따를 것인가’를 짐작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조건들이 모두 동일하다면, 건강하고 튼튼한 물고기가 허약한 물고기보다 더 훌륭한 의사결정자일 것이라고 간주한다. 그런데 물고기의 생각도 우리와 마찬가지일까? 스웨덴, 영국, 미국, 호주의 생물학자들로 구성된 다국적 연구팀은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큰가시고기를 이용한 실험을 설계했다.“(위의 책, 237쪽)



실험은 예상대로 큰가시고기들은 튼튼하고 잘생긴 녀석을 따라갔다. 조류나 포유류, 인간에서도 같은 조건이라면 건강한 외모를 가진 사람이 선택받는 것으로 보아 건강한 외모는 축복이 분명하다. 그렇지만 이것으로 민주주의라고 부를 수는 없지 않겠는가? 그래서 과학자들은 로봇물고기를 이용하여 한걸음 더 나아간다. 건강한 로봇물고기를 앞세워 포식자가 있는 위험한 곳으로 물고기떼를 인도를 하자 처음에는 멋모르고 따라갔지만 일정 규모의 정족수를 이루자 반란이 일어난다. 일정한 규모를 넘어서면 위험한 곳으로 인도하는 로봇물고기를 따르지 않았던 것이다. 같은 실험을 모기고기(모기의 유충을 먹는 물고기)에게 적용했을 때도 결과는 같았다. 소규모에서는 포식자가 있는 위험한 곳으로 기꺼이 로봇물고기 리더를 따라갔지만, 대규모에서는 더 이상 따르지 않고 안전한 곳을 선택했다.

 

물고기가 안전한 결정을 했을 때는 보다 많은 개체들이 투표에 참여했을 때이다. 그 결과 그들은 보다 안전해졌고, 수십만 혹은 수백만 마리가 공존하는 사회를 일궈낼 수 있었다. 물고기는 ‘투표는 꼭 해야 한다’라고 말하는 것 같다.

 

‘과학책을읽는보통사람들‘ 회원 허심.

 

#64호

 


신문협동조합「파주에서」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